본문 바로가기

신혼준비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지원]서울에서 신혼 집 구하기/서울시 주거지원 정책, 어떤 것들이 있을까?(1편)

안녕하세요.

릴리걸입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서울시 주거 정책 중 하나인

"역세권 청년주택"에 지원하여 당첨된 과정을 보여드렸는데요.

↓↓↓↓↓↓↓↓↓↓↓↓

https://lil-girl.tistory.com/2

 

 

이번에는 지난번 말씀 드린 대로

보증금 마련을 위해 어떤 제도들을 활용할 수 있는지 써보려고 해요.

 

들어가기에 앞서 제 글은 현재 서울에서 지원하고 있는 주거 정책 위주의 포스팅임을 알려드립니다.

 

우선, 현재 주거정책들을 그때그때 가장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곳은 서울주거포털(housing.seoul.go.kr/)입니다.

 

 

 

메인화면에서 주거정책 탭을 누르시면 청년신혼부부 지원 탭이 나타납니다.

 

 

 

현재 서울시의 지원 제도 중 대표적인 제도는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이 되겠네요.

한마디로 부부가 모두 무주택자일 경우,

전세보증금 이자의 일정 부분을
서울시에서 같이 부담해주는건데요.
당연히 소득구간에 따라 지원율은 달라집니다.

 

 

연소득 9천7백만원까지 지원 받으실 수 있는 제도입니다.

 

서울주거포털에 게시된 공고문에서 가져온 이자 지원 금리인데요,


소득제한이 다른 제도에 비해 비교적 넉넉한 편이고,
그외에 자녀가 있거나 예비신혼부부일 경우
지원 폭이 더 넓어진다고도 하니 해당하시는 분들은
잘만 활용한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은 제도로 보입니다.

(다만, 예비 신혼부부의 경우 예식일자가 명시된 예식장 계약서를 제출해야 하고,

대출 실행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혼인사실 확인서류를

은행에 제출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너무 좋은 제도이기 때문일까요???

이 제도는 본인과 배우자 포함 생애 딱 한번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즉, 상환 후 재신청 불가)

 

한번뿐이라니... 왠지 아쉽지만

기본 지원기간 2+2년(소득 등 기준 충족 시 연장가능)에

자녀 수 증가에 따라 최장 10까지도 지원해준다고 하니

 자녀계획까지 있으신 분들께서는

오래오래 지원 받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하실 점은 원래는 하나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을 통해
이 제도를 이용하실 수 있었으나,

 

현재 국민은행의 대출 재원이 소진되어

하나은행, 신한 은행을 통해서만 이용 가능 합니다.
국민은행으로의 신청은 2021년 1월부터 재개 예정이라고 하니
내년에 국민은행에 신청하실 분들은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이 제도는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무이자지원제도와

중복 신청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꼭 주의하셔야 하는데요,

 


그렇다면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무이자지원제도는

무엇인지 궁금하실 텐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무이자지원제도에 대해 자세히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요약설명해 드린 내용을 읽으시다가

관심이 가는 제도가 있으실 땐 꼭 주거포털 홈페이지에서

공고문을 상세히 읽고 자세히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